티스토리 뷰
반응형
2025 청년 주거 지원 제도 총정리
정부와 지자체는 청년들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아래는 청년 월세, 전세자금 대출, 임대주택 공급 등 주요 제도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🏠 1. 청년 월세 지원
1-1. 정부 한시 특별지원
-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
- 조건: 본인 및 부모 소득 요건 충족 (60~100% 중위소득)
- 내용: 월 최대 20만원씩 최대 24개월 지원
- 신청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1-2. 서울시 청년월세지원
- 대상: 서울시 거주 19~39세 무주택 청년
- 조건: 중위소득 150% 이하, 월세 60만원 이하 주택
- 내용: 월 20만원, 최대 12개월 지원
- 신청: 서울주거포털
🏢 2.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

-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, 연소득 5천만원 이하
- 금액: 최대 1억원
- 금리: 연 1.2~2.0%
- 신청: 주택도시기금 또는 시중은행
🏘️ 3. 청년 임대주택 공급
3-1. 청년 매입임대
- 정부가 매입한 주택을 리모델링 후 저렴하게 임대
- 월세 10만~30만원 수준
3-2. 청년 전세임대
- 청년이 고른 집을 LH가 대신 계약, 정부가 95% 보증금 지원
- 청년은 저렴한 임대료만 부담
🏡 4. 청년안심주택 (서울시)
- 역세권 또는 간선도로변 주택을 시가 매입 후 청년에게 임대
- 시세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 주거 제공
-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 가능
🧾 5. 주거급여 (저소득 청년 포함)
- 대상: 기준 중위소득 48% 이하 가구
- 임차가구: 월세 일부(최대 38만원) 지원
- 자가가구: 노후주택 수리비 최대 1,300만원 지원
- 신청: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
📌 신청 시 유의사항
- 월세 지원은 중복 신청 불가 – 하나의 제도만 선택해야 함
- 임대차 계약은 반드시 본인 명의여야 하며 증빙서류 필요
- 지자체별 신청 시기 상이 – 공식 홈페이지에서 일정 확인 필수
청년 주거 정책은 해마다 개선되고 있으며,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제도를 선택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자세한 내용은 청년정책포털 또는 각 지자체 주거복지 사이트를 참고하세요.
반응형